UN 유럽 경제위원회를 통하여 전 세계 40여 개국이 긴급 제동 장치 도입을 의무화하는 규제 방안에 합의를 했습니다..
긴급 제동 장치 도입을 의무화하는 규제안은 2019년 6월 정식 채택을 위한 세계 포럼에 제출이 되는데요. 채택 후 새로운 규정은 2020년 초 발효될 전망입니다.
긴급제동장치 의무화란?
긴급제동 장치는 다른 차량이나 보향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충돌이 임박했음에도 운전자가 시스템의 경고 알림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충돌을 방지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자동으로 비상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말합니다.
총돌을 대비하여 자동차가 자동으로 멈추는 것을 말하지요.
긴급제동장치는 졸음 운전이나 부주의 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그러나 긴급제동장치가 큰 트럭이나 덤프 트럭과 같은 무거운 자동차도 긴급제동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덤프트럭과 같은 차량에 대해서는 속도제한장치가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장치가 의무화 된다면 교통사고를 미연에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고, 대비할 수 있는 제도들이 앞으로도 계속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음주 상태로는 운전이 불가능한 장치와 같은 것이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차량 정보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닛산 철수설 토요타, 혼다 영향은? (0) | 2019.09.11 |
---|---|
운전면허 따기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0) | 2019.09.10 |
방탄소년단 팰리세이드 탄 이유 (0) | 2019.02.19 |